반응형
개념 📃
기본으로 돌아가자!
학습 이유 🪄
최근에 자바스크립트의 기초를 많이 잊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또한 프로젝트 경험 이후, 자바스크립트를 이제 좀 알 것 같은데, 이런 상태에서 공부하면 더 효과적일 것 같아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.
자바스크립트의 역사
1995년 12월 10일만에 만들었음.
넷스케이프 브라우저가 인터랙티브하길 바래서 탄생.
자바스크립트가 가장 훌륭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다.
모든 브라우저들은 딱 세가지의 언어를 이해한다. HTML, CSS, Javascript → 그래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.
(만약 파이썬을 사용하고 싶으면, 파이썬을 설치해야 한다.)
Basic Data Types
자바스크립트 뿐 만 아니라,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.
자바스크립트에는 type이라는 게 있고, 그걸 알아서 이해한다.
변수: 값을 저장하거나 유지하는 역할
- const(상수)
- let(변수) - 코드를 읽으면서, 언젠간 업데이트가 되겠구나 이해 가능
- var는 지양
- 문자
- 숫자
- boolean (true/ false)
- undefined - 변수는 메모리에 만들어졌지만, 아직 아무 값도 할당되지 않았다. / 자연적인 발생: 변수 선언 후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때, 함수에서 반환값을 명시하지 않았을 때, 또는 객체의 속성에 접근할 때 해당 속성이 없을 경우
- null(변수 안에 아무것도 없다 / 의도적인 발생) - 의도적으로 변수에 “값이 없음”을 할당한 상태를 의미, 개발자가 “비어있음”을 명시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.
*undefined와 null의 차이가 헷갈린다면?
- undefined: 변수는 메모리에 존재하지만 값이 없는 상태. 자바스크립트가 자동으로 설정.
- null: 변수에 "값이 없음"을 명시적으로 설정한 상태.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할당.
*데이터를 정리하는 방법 - 데이터 구조 (참조에 의한 복사가 된다는 점에서 위의 데이터 타입과는 차이가 있다)
- Arrays - 데이터 리스트를 가질 수 있다.
- [ ]
- object
- { }
- const로 선언해도 안의 property는 수정될 수 있다.
const player = { name: '별', age: 26, height: 165, } player.age = 27; console.log(player.age); //27
함수
return → 결과 값을 내보내는 것. 변수로 담아올 수 있다.
후기 🪄
올 초에 자바스크립트 처음 공부했을 땐 정말 멘붕의 좌절 연속이었다. 사실 무슨 말인지 1도 이해가 안간다. 그런데 이번에 다시 공부해보니 '그렇지' 하며 이해하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. 그래서 조금 더 희망이 생겼고, 꾸준히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.
반응형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M (0) | 2024.05.07 |
---|---|
배열 메서드 변형 (0) | 2024.03.24 |
배열 메서드 순회와 탐색 (0) | 2024.03.24 |
배열 메서드 요소 조작 (0) | 2024.03.24 |
async/await (0) | 2024.0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