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
배열 메서드 요소 조작

loeybho 2024. 3. 24. 09:39
반응형

공부 계기 🧚

리액트에서 투두리스트를 구현하면서 배열 메서드가 많이 사용되는 걸 배웠다. 그래서 배열 메서드를 주제로 따로 빼서 정리했다. 각각 메서드의 특징과 활용 상황을 이해하여 배열메서드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보자!

 

6가지의 요소 조작 메서드 🕹️

1. push

배열의 맨 뒤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메서드

let arr1 = [1, 2, 3];
const newLength = arr1.push(4, 5, 6, 7);
console.log(arr1); // [1,2,3,4,5,6,7]
console.log(newLength); // 7

 

2. pop

배열의 맨 뒤에 있는 요소를 제거하고, 반환

let arr2 = [1, 2, 3];
const poppedItem = arr2.pop();
console.log(poppedItem); //3
console.log(arr2); // [1,2]

3. shift

배열의 맨 앞에 있는 요소를 제거하고, 반환

let arr3 = [1, 2, 3];
const shiftedItem = arr3.shift();
console.log(shiftedItem, arr3); // 1, [2, 3]

 

4. unshift

배열의 맨 앞에 있는 요소를 추가하고, 반환

let arr4 = [1, 2, 3];
const newLength2 = arr4.unshift(0);
console.log(arr4);

*shift와 unshift는 인덱스를 수정한다는 점에서 더 오래 걸린다. 따라서 push나 pop을 사용하는 게 좋다.

 

5. slice

마치 가위처럼 배열의 특정 범위를 잘라내서 새로운 배열로 반환

let arr5 = [1, 2, 3, 4, 5];
let sliced = arr5.slice(2);
console.log(sliced); //[3,4,5]
console.log(arr5);//[1,2,3,4,5]
//원본 배열의 값 유지
//맨 끝의 숫자를 지정할 땐 +1 을 해줘야 한다.
//맨 끝의 숫자가 배열의 마지막이면 그냥 시작하는 배열의 인덱스만
//적어도 된다.

 

6. concat

두개의 서로 다른 배열을 이어 붙어서 새로운 배열을 반환

let arr6 = [1, 2];
let arr7 = [3, 4];

let concatedArr = arr6.concat(arr7);
console.log(concatedArr);
// arr6 배열 뒤에 arr7 배열이 붙어서 새로운 배열로 반환.
반응형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배열 메서드 변형  (0) 2024.03.24
배열 메서드 순회와 탐색  (0) 2024.03.24
async/await  (0) 2024.02.20
콜백 지옥(callback)  (0) 2024.02.20
Promise  (0) 2024.02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