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로그 리뷰
덩어리 전체 몇개인지? 한 개.
margin: auto auto; 가 안되는 이유?
박스엘리먼츠의 생태계에는 위아래 여백이 없어요
문제당착 1.
가운데 정렬이 안됨.
body에 height 값을 준다.
viewport 등장!
viewport란?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창을 의미.
viewport units: vw, vh, vmin, vmax
height: 100%는 부모 요소의 100%이기 때문에 그냥 넣으면 안된다.
(높이를 바디에 100vh로 넣어주는 것.)
- 근데 페이지가 오직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확장성을 고려해서 마크업을 설정해야하 한다.
문제당착 2.
잔디밭은 마크업으로 굳이 넣을 필요가 없다. 왜냐하면 시멘틱한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.
문제당착 3. 이미지인 곰이 살짝 떠있다.
이 경우, 이미지 리셋을 할 필요가 있는데 display: block은 추천하지 않는다. 왜냐면 text-align같은 프로퍼티 적용이 모두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.
vertical-align: top; (baseline을 벗어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은 한 번 더 알아보는 게 중요 ! )
문제당착 4.
h1은 reset할때
h1 {
margin: unset;
font-weight: unset;
font-size: unset;
}
새로운 지식
:root {
font-family: 'arial', 'impact', sans-serif;
}
min-height
최소 높이 규정
바디에 그냥 height 100vh라고 설정 시켜 놓으면 확장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min-height를 권장.
backgroun-repeat: repeat-x; (이것 역시 확장성을 고려한 것)
[pixel perfection]
1. 똑같이 디자인 시안을 맞추어주는 것
2. 유연하게 만드는 것, 확장성
콘텐츠의 유동성 까지 고려해서 습관이 되게 만드는 것이 나중을 생각하면 가장 편한 길이다.
flex-direction은 어떤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이다.
flex-direction: column;은 약간 전체적인 방향성도 달라지게 함.
align-items 적용이 row 했을때랑 다르게 들어감
.movie:nth-child(even){
}
div를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니까 행복하다~
'Project 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218 테킷] 미디어 쿼리, 마진 (0) | 2023.12.19 |
---|---|
[1205 테킷] 웹 접근성 (1) | 2023.12.15 |
[1213 테킷] (0) | 2023.12.14 |
[테킷 1211] CSS (1) | 2023.12.11 |
[테킷 1207] 특강, CSS (2) | 2023.1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