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개념 📃
타입스크립트란?
타입스크립트란 Typed JavaScript로,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정적 타입 문법을 추가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.
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의 인터프리터 언어로 런타임에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. 하지만 타입 스크립트는 정적 타입의 컴파일 언어이며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 또는 Babel을 통해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된다.
장점
코드 작성 단계에서 타입을 체크해 오류를 확인할 수 있고, 미리 타입을 결정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.
단점
코드 작성 시 매번 타입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코드량이 증가하며 컴파일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.
활용 예시 🪄
npm install -g typescript
타입스크립트를 설치한다.
app.ts 파일에 다음을 입력한다.
let message: string = "Hello, World!";
let heading = document.createElement("h1");
heading.textContent = message;
document.body.appendChild(heading);
터미널에서 다음을 입력한다.
tsc app.ts

이렇게 뜬다. index.html에 app.js를 연결해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.

참고 자료
https://www.samsungsds.com/kr/insights/typescript.html
https://www.typescripttutorial.net/typescript-tutorial/what-is-typescript/
반응형